마산수출자유지역에서
시작된 합포만의 기적
외국인 투자 유치와 대한민국 대표 수출 전진기지
외국인 투자 유치와 대한민국 대표 수출 전진기지
지정•운영 중인
자유무역지역 13개
산단형 7개, 항만형 5개, 공항형 1개
산단형 7개, 항만형 5개, 공항형 1개
첨단•수출 투자유치의
거점으로
제조•물류 융복합 중심지역으로
제조•물류 융복합 중심지역으로
혁신성장을 통한
전세계 투자의 중심지
대한민국 자유무역지역!
대한민국 자유무역지역!
외국인 투자 유치와 대한민국 대표 수출 전진기지
외국인 투자 유치와 대한민국 대표 수출 전진기지
산단형 7개, 항만형 5개, 공항형 1개
산단형 7개, 항만형 5개, 공항형 1개
제조•물류 융복합 중심지역으로
제조•물류 융복합 중심지역으로
대한민국 자유무역지역!
대한민국 자유무역지역!
자유무역지역의 최신 소식을 안내 드립니다.
| [율촌자유무역지역]2023년도 율촌자유무역지역 임대료 공고.. | 2023-01-09 |
| [마산자유무역지역]2023년도 자유무역지역 임대료 공고.. | 2023-01-05 |
| [마산자유무역지역]혁신지원센터 입주 지원기업체 선정결과 공.. | 2022-12-16 |
| [마산자유무역지역]마산자유무역지역 자가공장 임대부지 입주기.. | 2022-11-07 |
대한민국자유무역지역은 각각 특화된 투자환경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동해자유무역지역은 러시아, 일본, 중국을 잇는 동북아 환동세권의 중심지로서 풍부한 인력 확보가 가능하고, 고객의 니즈에 맞는 다양하고 차별화된 맞춤형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있습니다. 글로벌 콜드체인 시장의 부상에 따라, 저온물류 표준공장을 건립 하여 제조, 유통 , 물류 등 수산물 가공 산업을 적극 지원하고있습니다.
| 주요산업 | 비금속, 기계, 전기·전자, 수산 가공 등 |
| 수출액 | 1,561천 달러 |
| 업체수 | 웰메이트인터내셔널(한국), 엠뷰글로벌(중국), 화남인터내셔널 (UAE) 등 |
| 연락처 | 042-111-3421 |
마산자유무역지역은 영국의 투자전문지 “FDI Magazine”에서 세계 3,000여개 FTZ중 입지여건 등 경쟁력 1% 이내인 지역으로 선정되는 등 전세계 자유무역지역 중에서 가장 성공한 모델로 평가받고 있는 도심형 첨단 산업단지입니다.
| 주요산업 | 기계, 자동차부품, 전기·전자, 정밀기기 등 |
| 수출액 | 768,680천 달러 |
| 주요기업 | 한국소니전자(네덜란드), 한국성전(일본), 센트랄(일본), 하이윈(대만) 등 |
군산자유무역지역은 서해안산업벨트 중심에 위치하여 급격하게 팽창하고 있는 환황해 경제권을 위한 전진기지로 도약하는 견인차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군산항을 통한 원재료 수입, 비축 및 물류시스템 활용이 가능한 지역으로서, 다수의 단지가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는 도시 및 산업 인프라의 보고입니다.
| 주요산업 | 화학, 기계, 전기·전자 등 |
| 수출액 | 435,942천 달러 |
| 주요기업 | 삼양화인테크놀로지(일본), 삼양이노켐(일본), 올리콘발저스(스위스) 등 |
대불자유무역지역은 세계 주요 도시와 전국을 이어주는 교통 인프라, 혁신적인 세제혜택과 효율적인 원스톱 행정서비스, 풍부한 자연자원과 산업자원까지 더해져 전 세계가 주목하는 비즈니스 허브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조선산업부터 세라믹산업, 자동차튜닝산업 등 미래산업을 육성하는 대규모 산업단지와 인접해 있어 생산성과 시너지 창출을 극대화하는 산업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주요산업 | 조선, 기계·금속, 전기·전자 등 |
| 수출액 | 101,855천 달러 |
| 주요기업 | 바르질라현대엔진(핀란드), 현대삼호(한국), 유일(한국) 등 |
율촌자유무역지역은 동북아 제조·물류·무역의 중심지인 광양만 경제자유구역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의 포스코광양제철소, 국내최대의 여수석유화학 단지 및 다수의 지방산업단지가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어 철강재, 합성수지 등 기초소재의 원활한 수급과 생산 제품의 판매가 가능합니다.
| 주요산업 | 화학, 기계, 금속 등 |
| 수출액 | 37,128천 달러 |
| 주요기업 | 광양훼더(중국), 엘티아이(일본), 한국체서피크(미국), 청광신소재 (영국) 등 |
김제자유무역지역은 주변의 풍부하고 다양한 산업과 연계하여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첨단화와 융·복합화로 글로벌한 제조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자동차부품, 기계, 식품, 생명공학 산업과 전북권 주요도시 140만 인구를 연결하는 전북권 T자형 산업벨트의 중심에 있습니다.
| 주요산업 | 특장차, 기계·금속, 탄소소재 등 |
| 수출액 | 27,577천 달러 |
| 주요기업 | 한국구보다(주)(일본), (주)알룩스(미국), (주)씨아이이에프(미국) 등 |
울산자유무역지역은 철도, 공항, 항만, 고속도로 등 완벽한 사회간접자본 기반시설 및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다양한 산업클러스터와 인접하여 있고 에너지 중심도시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며 산업용 도시가스 상·하수 공급 및 처리시설 등 산업 생산에 최적의 기반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 주요산업 | 기계, 금속, 철강, 전기·전자, 운송장비 등 |
| 수출액 | 158,654천 달러 |
| 주요기업 | 스칸젯매크론(스웨덴), 롤이엔지(중국), 아이플랜트, 울프, 동성정공(한국) 등 |
인천항 자유무역지역은 동북아시아의 물류 중심지로 대한민국 산업과 경제가 집중된 수도권 관문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으며, 인천 내항과 남항 위주의 자유무역지역에서 인천 신항까지 발돋움할 예정입니다.
| 주요산업 | 자동차·잡화·철강재·비철·컨테이너 |
| 수출액 | - |
| 주요기업 | 인천내항(IPOC, 동화실업, 우련통운 등) 및 남항(ICT), M&M 통운 등 |
평택당진항 자유무역지역(1단계, 항만배후단지)은 수입자동차 PDI 업종을 주력으로 고부가가치 복합물류산업 활성화를 위해 관련 물류, 제조, 업무시설 등이 입지되어 있습니다.
| 주요산업 | 수입자동차 PDI, 물류창고업 등 |
| 수출액 | 10,440천 달러 |
| 주요기업 | ㈜신화로직스, ㈜피엘에스, 영진로지스틱스㈜, ㈜엠에스로지스틱 등 |
자연적인 조건과 입지적인 여건이 양호한 포항항은 한반도의 동남부에 위치하여 대구, 경북 일원의 관문역할을 하며, 포스코 등 배후 철강공단을 지원하는 신항과 모래, 유류 등을 취급하는 구항(송도부두, 여객부두, 화물부두 및 동빈부두) 그리고 2009년 8월 대구, 경북 최초의 컨테이너 부두로 개장한 영일만항이 있습니다.
| 주요산업 | 구항(여객, 시멘트) 신항(포스코), 영일만항(컨부두) 등 |
| 수출액 | 60백만톤(TEU) |
| 주요기업 | 포스코 등 |
광양항 자유무역지역은 호남과 연계된 동북아 물류거점 항만으로 물류·제조산업에 필요한 각종 지원 인프라가 조성되어있어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운영초기 투자비용을 낮출 수 있는 항만형 산업단지입니다.
| 주요산업 | 석유화학, 철강, 제지산업 등 |
| 수출액 | 78,539천달러(’20년 기준) |
| 주요기업 | EEW(독일), HAM(중국) 등 |
부산항 자유무역지역은 세계 7위 수출입항만, 세계 2위 환적항만인 부산항에 인접한 지리적 특성을 살려 다양한 부가가치 물류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자유무역지역입니다.
| 주요산업 | 컨테이너 하역, 보관, 제조, 가공 등 |
| 수출액 | 518,242천달러(신항 ’20년 기준) |
| 주요기업 | BIDC(주), CJ대한통운BND(주), 롯데부산신항로지스(주) 등 |
인천공항은 2001년 개항 이후, 지속적인 물류 인프라 및 네트워크 개발을 통해 2020년 전세계 세번째로 많은 국제화물(282만 톤)을 처리하여 동북아 물류거점공항으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주요산업 | 화물터미널, 글로벌특송, 화물창고, 특수목적시설 등 |
| 수출액 | - |
| 주요기업 | 대한항공, 아시아나, DHL, FedEx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