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보도자료

첨단 메모리 반도체 공급 협의

81

/attach/viewer/095a2dda9c864e1d90d751f7668a1117/54b0204cc7d660e0992c9250d5f857bb/9a9db098b587ee18b321c826f3707a49

오픈AI와 삼성·SK하이닉스 간 첨단 메모리
반도체 공급 협의
- 대통령 임석 하에 첨단 메모리 반도체 공급, AI 데이터센터 투자 등 협의
- 오픈AI - 삼성·SK하이닉스간 AI 관련 포괄적 협력의향서(LoI) 체결
- 한국 반도체 산업의 성장 동력 확보 및 AI 3강(G3)으로의 도약 기대
이재명 대통령은 10.1(수) 18:00 샘 알트만(Sam Altman) 오픈AI CEO를 접견하였다. 이 자리에는 산업
통상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장관 및 삼성·SK하이닉스 등
우리 기업이 참석하여 반도체·AI 관련 포괄적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
오픈AI는 최근 `오픈AI 코리아`를 출범(9.10)하는 등 국내 AI 산업과의 협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그
일환으로 오픈AI는 한국의 글로벌 반도체 제조사인 삼성·SK하이닉스와 각각 협력의향서(LoI)를 체결
하였다. 금일 면담에서는 LoI를 토대로 향후 오픈AI의 AI 인프라 투자시 삼성·SK하이닉스가 첨단 메
모리 반도체를 대규모로 공급한다는 「스타게이트 메모리 반도체 파트너쉽」을 협의하였다. 또한 한국
을 포함한 전세계 AI 인프라 확충을 위해 기업 간 힘을 모은다는 내용도 논의하였다.
금일 체결된 파트너쉽은 삼성·SK하이닉스 등 우리 반도체 제조사들이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글로벌
AI 인프라 시장*을 선점하는 데 기여하고, 우리 반도체 산업에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가적으로 수출 확대, 일자리 창출 등 막대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아울러, 글
로벌 AI 선도기업인 오픈AI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 AI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하고, 우리 정부가 추진 중
인 AI 3대 강국(G3)으로의 도약을 촉진할 것으로 보인다.
* 글로벌 데이터센터 시장(억불, Precedence Research) : (`25) 3,867 → (`34) 10,086
산업부는 한국 반도체가 글로벌 AI 대전환을 견인하는 핵심 인프라로서, 국가 위상을 제고하고 경제성
장 동력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특히, AI發 글로벌 반도체 수요 확
대를 통해 팹리스, 파운드리, 소재·부품·장비 등 우리 반도체 생태계가 함께 도약할 수 있도록 「K-온
디바이스 AI반도체 기술개발 사업」, 「국가첨단전략산업 소부장 중소·중견기업 투자지원금」 등의 지
원방안을 신속히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